contents area
만성질환예방관리
- 작성일2019-05-15
- 최종수정일2019-11-06
- 담당부서만성질환예방과
- 연락처043-719-7431
- 1,385
detail content area
사업소개
추진배경
1.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심뇌혈관질환의 급성기 치료 성적
- 가. 심뇌혈관질환자의 경우, 병원 도착 후 혈전용해제 투여까지 74분, 관상동맥확장술 실시까지 134분 소요로 선진국과 큰 격차
※ 미국심장학회 권고 : 병원도착 후 30분 이내 혈전용해제 투여, 90분 이내 관상동맥확장술 실시 - 나. 뇌졸중 환자의 경우 증상발생 후 3시간 이내에 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비율은 20.5%에 불과하며, 전체 환자의 2.1%에게만 혈전용해술 제공
2. 심뇌혈관질환의 적정 진료를 위한 응급 및 전문치료 시스템 부재
- 가. 증상발현 후 3시간 내에(Golden time) 병원에 도착한 환자는 47.7%에 불과하여 치명적인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기회 상실
- 나. 뇌졸중 진료 적정성 평가(심평원, 2005) 결과 187개 병원 중 10개 평가지표 모두 A등급을 받은 병원은 15개(8%)에 불과
- 다. 지방 대학교병원 및 취약지역에 위치한 민간병원 등을 지역 심뇌혈관질환 치료 및 재활의 거점병원으로 육성 필요
3. 수도권 중심의 의료시설 집중에 따른 지역간 건강격차 심화 가능
- 가. 서울․경기에 집중된 병원 인프라로 인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전문 의료기관이 수도권에 40% 이상 편중
- 나. 지방 심뇌혈관질환 병원의 낙후된 이미지로 인해 수도권 환자 쏠림 현상 및 지역 간 의료 격차의 증가 상황 해소 시급
표1. 연간 심뇌혈관질환 진료 실적이 많은 의료기관의 지역별 분포(심평원, 2006)
구분 | 수도권 | 충북 | 대전 충남 |
강원 | 대구 경북 |
전북 | 광주 전남 |
부산 울산 |
경남 | 제주 | 계 |
---|---|---|---|---|---|---|---|---|---|---|---|
심혈관* | 11 (44%) |
0 (0%) |
3 (12%) |
1 (4%) |
3 (12%) |
1 (4%) |
1 (4%) |
3 (12%) |
2 (8%) |
0 (0%) |
25 |
뇌혈관** | 40 (48.2%) |
3 (3.6%) |
5 (6.0%) |
3 (3.6%) |
7 (8.4%) |
7 (8.4%) |
4 (4.8%) |
10 (12.1%) |
3 (3.6%) |
1 (1.2%) |
83 |
* 연간 PCI(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200건 이상 시행 기관
** 연간 응급실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 200명 이상 진료하는 기관
추진경과
- ‘05.12월 : 관계부처합동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 수립
- ‘06. 6.9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수립
- ‘06.11월 : ‘심뇌혈관질환 정복을 위한 센터 중심의 모형관리 연구’ 시행(’06.11.20 ~ ’07.6.19)
- ‘07. 1월 : 2단계 균형발전정책 관계장관 회의에서 ‘보건의료분야 균형발전정책’ 과제로 선정
- ‘07. 4월 : ‘보건의료분야 균형발전정책’ 추진계획(안) 수립
- ‘07 .9월 : ’08년 정부예산안에 최종 반영
- ‘08. 7월 : ’08년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계획 수립
- ‘08.11월 : ’08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강원대, 경북대, 제주대)
- ’08.12월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심뇌혈관질환 환자관리표준화를 위한 지정 병원별 주임상경로(CP) 개발 및 적용 연구’시행(‘08.12.30 ~ ‘09.11.29)
- ‘09. 1월 : ’09년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계획 수립
- ‘09. 3월 : ’09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충북대, 전남대, 경상대)
- ’09. 9월 : ’08년 선정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강원대, 경북대, 제주대) 2009년 하반기 운영사업 시행
- ‘09.11월 : 제주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09.12월 : 경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0. 1월 : ’10년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계획 수립
- ’10. 2월 : ’08년, ’09년 선정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6개소(강원대, 경북대, 제주대, 경상대, 전남대, 충북대)
2010년 운영사업 시행 - ‘10. 4월 : ’10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동아대, 원광대, 충남대)
- ‘10. 5월 : 강원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0.12월 : 충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0.12월 : 전남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0.12월 : 경상대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1. 3월 : ’08년~’10년 선정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9개소
(강원대, 경북대, 제주대, 경상대, 전남대, 충북대, 동아대, 원광대, 충남대) 2011년 운영사업 시행 - ‘11. 4월 :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1.11월 : 충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2. 3월 : ’08년~’10년 선정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9개소
(강원대, 경북대, 제주대, 경상대, 전남대, 충북대, 동아대, 원광대, 충남대) 2012년 운영사업 시행 - ‘12. 9월 : 동아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개소식
- ‘12.12월 : ’12년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분당서울대, 인하대)
추진체계
1.사업추진체계
- 보건복지부는 정책개발 및 총괄업무를 담당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위원회」 및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평가위원회」를 구성, 운영 나. 질병관리본부 내 「심뇌혈관질환관리사무국」은 설치사업 및 운영사업을 관리, 지원

보건복지부는 정책개발 및 총괄업무를 담당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위원회」 및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평가위원회」를 구성, 운영 나. 질병관리본부 내 「심뇌혈관질환관리사무국」은 설치사업 및 운영사업을 관리, 지원
2.기술지원체계
- 가.권역·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육성전략 기술지원체계
- 1) 보건복지부 : 정책업무 담당
- 2) 질병관리본부 : 관리업무 담당
- 3) 위탁대학 : 기술 및 연구 업무 담당

- 가.권역·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육성전략 기술지원체계
- 1) 보건복지부 : 정책업무 담당
- 2) 질병관리본부 : 관리업무 담당
- 3) 위탁대학 : 기술 및 연구 업무 담당
3. 기관별 업무
구분 | 정책업무 [Policy] |
관리업무 [Project Management] |
기술 및 연구 업무 [Technical Support & Research] |
---|---|---|---|
관련 부서/ 기관 |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심뇌혈관질환 관리사무국) |
위탁대학 |
주요 기능 |
심뇌혈관질환센터 육성전략 수립 및 시행 |
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 관리 |
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 기술지원 및 연구 |
세부 업무 |
[1]심뇌혈관질환 3차예방 전략 수립 및 시행
[2]심뇌혈관질환센터 육성전략 수립 및 시행 [3]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 [4]심뇌혈관질환센터 육성 교부금 집행 및 결산 |
[1]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지침 개발
[2]심뇌혈관질환센터 시설·장비 심의 [3]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사업계획서 및 지원예산액 심의 [4]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사업 상황 모니터링, 운영성과 평가 및 백서 발간 [6]심뇌혈관질환센터 전국운영협의회 운영 및 관련 학술 전문가 회의 개최 [7]기타 권역·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육성전략 행정지원 |
[1]심뇌혈관질환센터 모형연구 및 개발
[2]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성과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개발 [3]CPG에 기초한 병원별 CP 개발 및 운영 방법론 연구 및 개발 [4]병원중심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 모형 연구 및 개발 [5]심뇌혈관질환센터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관련 학술대회 지원 |
관련 위원회 |
◦심뇌혈관질환센터 선정위원회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 구성(예정) |
◦심뇌혈관질환센터 시설․장비 심의위원회
◦심뇌혈관질환관리 CPG 및 CP 개발 보급 자문위원회 |
◦위원회 구성 예정(약15인)
|
※위탁대학은 미선정(2012.12월 현재)
추진내용
구성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심혈관센터, 뇌혈관센터, 심뇌재활센터 등 3개의 임상센터와 1개의 예방관리센터로 구성 ※ 각 센터별 명칭은 지침에 명시된 그대로 준용(임의변경 불가)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는 운영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결정하는 운영위원회와 권역 내 보건기관, 의료계, 학계 등의 대표자로 구성된 권역심뇌혈관질환관리협의회를 설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위원회, 권역심뇌혈관질환 관리협의회, 예방관리센터, 심혈관센터, 뇌혈관센터, 심뇌재활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방관리센터의 기능은 입퇴원환자 전문교육, 퇴원환자 f/u 서비스, 전문인력교육, 지역사회 주민 조기증상교육 및 홍보, 심뇌혈관질환환자 통계 생산, 자치단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과공조, 지역 내 진로 네트워크 구축입니다. 심혈관센터,뇌혈관센터,심뇌재활센터의 기능은 24시간 365일 전문진료팀 운영을 통해 신속한 진료제공, critical pathway운영, 뇌졸증 조기재활 및 심장재활, stroke unit 설치운영, 전문분야간 기능적인 협력체계로 센터 구성
사업내용
1. 포괄적이고 전문적인 집중진료기반 구축
- 가. 병원 내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기능을 강화하고 진료 수준을 향상
- 나. 24시간 전문진료팀 운영으로 신속하고 집중적인 전문 진료 제공
- 다. 조기에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회복 촉진 및 장애 최소화
- 라. 적정진료를 위한 표준진료지침(Critical Pathway, CP) 개발·운영
2. 지역사회 병원 간 진료 연계체계 구축
- 가. 지역 어디에서든 심뇌혈관질환 발생 시 적정시간(3시간) 내에 전문진료가 가능하도록 진료 네트워크 구축
- 나. 퇴원 후 지역 내 재활병의원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3.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의 중추 역할 수행
- 가. 심뇌혈관질환 입퇴원환자 전문교육과정 운영
- 나. 퇴원환자 F/U(추구관리) 서비스 제공
- 다. 필수 전문인력에 대한 전문교육과정 운영
- 라. 지역사회 교육 및 홍보
- 마. 지자체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과 공조체계 구축
11개 센터 위치 및 연락처
센터 위치 및 연락처
센터명 | 주소 | 병원 대표전화 | 센터 내 조직별 대표전화 | |
---|---|---|---|---|
강원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강원도 춘천시 백령로156(효자동 17-1)
우)200-722 |
033-258-2000 | 심혈관센터 | 033-258-2089 |
뇌혈관센터 | 033-258-2095 | |||
심뇌재활센터 | 033-258-2094 | |||
예방관리센터 | 033-258-2092~3 | |||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우)700-721 |
053-200-5114 | 심혈관센터 | 053-200-5521 |
뇌혈관센터 | 052-200-5761 | |||
심뇌재활센터 | 053-200-6811 | |||
예방관리센터 | 053-200-6591 | |||
제주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 13길 15
(아라1동) (우) 690-767 |
064-717-1114 | 심혈관센터 | 064-717-1700 |
뇌혈관센터 | 064-717-1620 | |||
심뇌재활센터 | 064-717-1620 | |||
예방관리센터 | 064-717-1495 | |||
경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 79
(칠암동 90번지) |
055-750-8000 | 심혈관센터 | 055-750-9146 |
뇌혈관센터 | 055-750-9147 | |||
심뇌재활센터 | 055-750-9148 | |||
예방관리센터 | 055-750-9140~4 | |||
전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우) 501-757 |
1899-0000 | 심혈관센터 | 062-220-5412 |
뇌혈관센터 | 062-220-5413 | |||
심뇌재활센터 | 062-220-5428 | |||
예방관리센터 | 062-220-5410 | |||
충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봉로 410
(개신동) 충북대학교병원 (우) 361-711 |
043-269-6114 | 심혈관센터 | 043-269-7905 |
뇌혈관센터 | 043-269-7906 | |||
심뇌재활센터 | 043-269-7460 | |||
예방관리센터 | 043-269-7901~4 | |||
동아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26
(우)602-715 |
051-240-2000 | 심혈관센터 | 051-240-2505 |
뇌혈관센터 | 051-240-2506 | |||
심뇌재활센터 | 051-240-2501~4 | |||
예방관리센터 | 051-240-2501~4 | |||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전북 익산시 무왕로 895번지
(신용동 344-2번지) (우)570-711 |
1577-3773 063-859-1114 |
심혈관센터 | 063-859-1994 |
뇌혈관센터 | 063-859-1994 | |||
심뇌재활센터 | 063-859-1994 | |||
예방관리센터 | 063-859-1993 | |||
충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우)301-721 |
042-280-7114 | 심혈관센터 | 042-280-8948~9 |
뇌혈관센터 | 042-280-8951~3 | |||
심뇌재활센터 | 042-280-8950 | |||
예방관리센터 | 042-280-8942~3 |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번길 82
(우)463-707 |
031-1588-3369 | 심혈관센터 | 031-787-3085 |
뇌혈관센터 | 031-787-3084,4962 | |||
심뇌재활센터 | 031-787-3086 | |||
예방관리센터 | 031-787-3088~9 | |||
인하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인천 중구 인항로 27 (신흥동 3가 7-206)
(우)400-711 |
1600-8114 | 심혈관센터 | 032-890-2200 |
뇌혈관센터 | 032-890-3860,2370 | |||
심뇌재활센터 | 032-890-2480 | |||
예방관리센터 | 032-890-2130~7 |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안내
센터명 | 병원 홈페이지 | 권역센터 홈페이지 |
---|---|---|
강원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knuh.or.kr | http://www.kwccvc.or.kr |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knuh.kr/index.asp | http://www.dgccvc.or.kr |
제주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jejunuh.co.kr | http://www.jejuccdc.co.kr |
경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gnuh.co.kr/ | http://ccvc.gnuh.co.kr/ |
전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cnuh.com | http://www.gjccvc.co.kr |
충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cbnuh.or.kr | https://www.cbnuh.or.kr/ccvc/ |
동아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damc.or.kr | http://cvc.damc.or.kr |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s://www.wkuh.org/main/ | http://jbccvc.wkuh.org |
충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cnuh.co.kr | http://www.cnuh.co.kr/rcc/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snubh.org | http://ggccvc.snubh.org |
인하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http://www.inha.com | http://www.inha.com/site/iccvc/ |
참고문헌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2013년 운영지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