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만성질환예방관리
- 작성일2019-05-15
- 최종수정일2022-04-15
- 담당부서
- 연락처
detail content area
추진배경 및 필요성
사회ㆍ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증가하는 알레르기
-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한 알레르기질환의 악화요인 증가와 소아 감염성 질환 감소에 의한 면역체계 변화 등으로 알레르기질환 증가
< 알레르기질환 의사진단경험률(1998~2020) >
질병관리청에서 발행하는 국민건강통계 내 알레르기질환 의사진단경험률을 1998년부터 2020년까지의 결과를 가지고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은 꾸준히 증가를 보이고 있고, 천식과 아토피피부염은 큰 증가세는 아니지만 최초 조사 결과에 비해서는 증가하는 것을 보입니다.
※ 자료원 : 2020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 천식은 한국인의 만성질환 질병부담 중 14위를 차지, 소아(0~9세)에서 2위를 차지하는 질병부담이 높은 질환
우리나라 질병부담 상위 30개 질환(2015년 기준)
우리나라 질병부담 상위 30개 질환(2015년 기준) Rank Specific cause DALYs* 1 Low back pain 2,671 2 Diabetes mellitus 2,444 3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370 4 Ischemic heart disease 1,186 5 Osteoarthritis 1,179 6 Ischemic stroke 1,064 7 Cirrhosis of the liver 858 8 Falls 850 9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683 10 Motorized vehicle with three or more wheels 599 11 Major depressive disorder 561 12 Periodontal disease 507 13 Self-harm 499 14 Asthma 448 15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442 16 Schizophrenia 433 17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pyelonephritis,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390 18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390 19 Gastritis and duodenitis 379 20 Hemorrhagic and other non-ischemic stroke 375 ※ DALYs per 100,000 population
※ 자료원 : Trends and Patterns of Burden of Disease and Injuries in Korea Using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Kim Y, et al., JKMS, 2019우리나라 0~9세 질병부담 상위 5개 질환(2015년 기준)
우리나라 0~9세 질병부담 상위 5개 질환(2015년 기준) Rank Specific cause % of age group total DALYs 1 Refraction and accommodation disorders 13.6 2 Asthma 13.1 3 Dental caries 12.3 4 Viral skin disease 8.3 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7.5 * 자료원 : Trends and Patterns of Burden of Disease and Injuries in Korea Using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Kim Y, et al., JKMS, 2019
- 성인에 비해 소아청소년에서 유병률*이 높고 성인기 질환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유소년기의 적정 관리가 중요
* 어린이ㆍ청소년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추이(1995-2010)(단위 : %)
천식,알레르기비염,아토피피부염별 1995,2000,2010간 소아(6~7세), 청소년(13~14세) 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구분 소아(6-7세) 청소년(13-14세) 1995 2000 2010 1995 2000 2010 천 식 7.7 9.1 10.5 2.7 5.3 7.5 알레르기비염 15.5 20.4 37.7 7.7 13.6 29.9 아토피피부염 16.6 24.9 35.5 7.3 12.8 24.0 ※ 자료원 :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 조사, 2011, 질병관리청
조기진단 및 적정관리 미흡
- 천식은 외래기반의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대표적인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천식으로 인한 입원율*이 OECD 평균보다 높음
* 인구 10만명 당 OECD 평균 입원율 : 37.5명, 우리나라 입원율 : 65.0명(OECD health Statistics 2019) - 표준 지침에 따른 치료와 자가 관리를 할 경우 대다수 환자가 정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나 대체요법 경험률이 45~70%* 수준으로 적정 관리 미흡
* 소아의 아토피피부염 관리 실태(김동희, 2008, 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 소아기 때 적절한 치료가 지연되거나 치료 기회를 상실하게 되면 성인기 질환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알레르기질환의 진행과정을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
* The natural course of sensitization and allergic diseases from childhood to adulthood(Article), 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 Nissen, S.P 외 4인< 알레르기 행진 >
알레르기 행진은 알레르기 질환이 순차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영유아기의 음식 알레르기가 아토피피부염에서 천식, 알레르기비염을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식품알레르기는 태어나서 2세 때까지 최고조에 이르다 3~5세가 되면 급격히 감소하며 대게 돌을 지나면서 점차 호전됩니다. 식품알레르기가 사라지면, 일부에서는 돌 이전부터 아토피피부염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3세 무렵에 최고조에 달했다가 5세 이후가 되면 큰 폭으로 감소합니다. 소아천식은 1세 무렵부터 서서히 늘기 시작해 5~7세 무렵에 최고조에 이르고, 15세 이후부터는 상당수가 증상이 호전됩니다. 알레르기비염은 5세 무렵에서 시작되어 청소년기에 제일 심해지고 이후 상당수가 성인기까지 질환이 이어집니다. 소아기의 적절한 치료가 지연되거나 적기에 치료 기회를 상실하게 되면 성인기 질환으로 이행하게 됩니다. 알레르기질환은 서로 연계되어 일련의 순서로 발생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예방관리로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자료원 : 2판 알레르기 호흡기학,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국가차원의 종합대책 수립
- 노인인구 증가, 사회경제적 성장에 의한 생활환경 및 면역체계 변화 등으로 증가추세인 알레르기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07년 「천식·아토피 질환 예방관리 종합대책」수립
추진경과
- '07.5월 : 「천식‧아토피 질환 예방관리 종합대책」계획 수립
- '07.5.2. : 제1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07.9월 :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시범사업 실시(2개 시군구)
- '08.4월 :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시범운영(18개교)
- '08.5.6. : 제2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08.5월 :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 제정
- '08년 : 서울특별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 '09.3월 :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시범운영(144개교)
- '09.5.6. : 제3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09.5~9월 : TV 공익광고 제작(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편) 및 송출
- '10.5.4. : 제4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10.5~9월 : TV 공익광고(총 11편) 및 라디오광고 송출(8편)
- '11년 : 경기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 '11.5.3. : 제5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11.5~9월 : TV 공익광고(총 11편) 및 라디오 광고 송출(11편)
- '12.5.2. : 제6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12.5~12월 : 라디오 공익광고 제작 및 송출(8편)
- '13년 : 경상북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 '13.5.7. : 제7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14년 : 부산광역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 '14.5.13. : 제8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 '14.8~10월 : 알레르기 질환 라디오 공익광고 제작·송출
- '15.5.12. : 제9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및 보도자료 배포
- '15.12월 :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인증 사업 실시
- '16년 : 신규 2개 지역(광주광역시, 강원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선정 및 운영
- '16.5.3. : 제10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및 보도자료 배포
- '17.5.17. : 제11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18.5.3. : 제12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19.5.6. : 제13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19.10월~11월 : 지역사회 교사 대상 알레르기질환 전문교육(2회)
- '20년 : 대전광역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선정 및 운영
- '20.10월~11월 : 지역사회 교사 대상 알레르기질환 전문교육(3회, 온라인)
- '20.11.11. : 제14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21년 : 신규 2개 지역(충청북도, 경상남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선정 및 운영
- '21.5.11. : 제15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22.4.8 :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 개정 선포식 개최
비전 및 목표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의 비전은 모든 국민의 건강한 생활 보장과 삶의 질 향상, 미래의 사회 경제적 부담 경감이며, 목표는 알레르기질환의 지속 치료율 및 관리율 증가와 인지도 향상 입니다. 전략방향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알레르기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 대상자별 맞춤식 교육홍보로 질환관리 인식개선, 지역사회 참여 및 역량강화로 체계적인 예방관리서비스 제공, 관리 인프라 강화로 적정관리 기반 구축이 있습니다. 중점과제로는 교육홍보, 지역사회예방관리, 관리 인프라 구축이 있습니다.
추진 내용
지역사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추진
- 환자 및 가족의 자가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시·도 단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운영
- 지역사회 주민 대상 교육‧홍보, 취약계층 환자대상 치료비 지원 등 보건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사업 운영
- 환아 파악 및 교내 응급체계 구축, 보건교사 및 학생 대상 교육 추진을 위한 아토피‧천식 안심학교(유치원, 어린이집 포함) 운영
알레르기질환의 올바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대국민 교육‧홍보
- 세계 천식의 날 기념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 환자 자가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대상자별 교육‧홍보 콘텐츠 개발 및 보급
- 보건교사 및 보육교사 등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담당교사 대상 알레르기질환 전문교육 실시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인프라 구축
- 알레르기질환의 발생과 분포, 유병규모 등 추이변화 모니터링
- 원인규명 기반 연구 강화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수칙(2022년 개정)
아토피피부염
- 1. 보습 및 피부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1) 목욕은 매일 미지근한 물에 10분 이내로 합니다.
- 2) 약산성 물비누를 사용하여 매일 목욕하고 때를 밀면 안됩니다.
- 3) 보습제는 하루에 적어도 두 번 이상, 목욕 직후 바릅니다.
- 4) 피부에 자극이 없는 옷을 입어야 합니다.
- 5) 손톱, 발톱을 짧게 깎도록 합니다.
- 2. 정확히 알레르기로 진단된 식품만을 제한합니다.
- 3.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합니다.
- 4.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 5.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합니다.
천식
- 1.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2. 천식의 원인 및 악화요인을 검사로 확인한 후 회피합니다.
- 3. 금연하고, 간접흡연도 최대한 피합니다.
- 4. 감기 예방을 위하여 손을 잘 씻고,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을 철저히 합니다.
- 5.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정상체중을 유지합니다.
- 6. 천식 치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시행하고 악화 시 대처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 7.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합니다.
알레르기비염
- 1.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2. 비염의 원인 및 악화요인을 검사로 확인한 후 회피합니다.
- 3. 금연하고, 간접흡연도 최대한 피합니다.
- 4. 감기예방을 위하여 손을 잘 씻습니다.
- 5.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합니다.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사업 수행 보건소
연도별 참여 보건소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42개 | 42개 | 60개 | 60개 | 96개 | 115개 | 135개 | 154개 | 156개 | 151개 | 166개 | 170개 | 173개 |
시도별 참여보건소 명단
번호 | 시도명 | 사업 참여보건소 |
---|---|---|
1 | 강원도 | 강릉시, 고성군,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원주시,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춘천시,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
2 | 경기도 |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군포시, 남양주시, 성남시, 용인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수원시, 의왕시, 의정부시, 파주시, 평택시, 하남시 |
3 | 경상남도 | 거제시, 거창군, 고성군, 김해시, 남해군, 사천시, 산청군, 양산시, 창원시, 통영시, 함안군, 함양군 |
4 | 경상북도 | 경산시, 경주시, 고령군, 구미시, 군위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김천시,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포항시 |
5 | 광주광역시 | 남구, 동구, 북구, 서구, 광산구 |
6 | 대구광역시 | 동구, 북구, 수성구 |
7 | 대전광역시 |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 |
8 | 부산광역시 | 금정구, 동래구, 부산강서구, 남구, 동구, 북구, 서구, 중구, 부산진구, 사상구, 사하구, 수영구, 연제구, 영도구, 기장군, 해운대구 |
9 | 서울특별시 | 강남구, 강동구, 강북구, 강서구, 관악구, 광진구, 구로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동작구, 마포구, 서대문구, 중구, 서초구, 성동구, 성북구, 송파구, 양천구, 영등포구, 용산구, 은평구, 종로구, 중랑구 |
10 |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
11 | 울산광역시 | 남구, 동구, 북구, 중구, 울주군 |
12 | 인천광역시 | 강화군, 동구, 중구 |
13 | 전라남도 | 고흥군, 담양군, 순천시, 여수시, 장성군, 장흥군, 함평군 |
14 | 전라북도 |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완주군, 익산시, 정읍시, 진안군 |
15 |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동부, 서귀포, 서부), 제주시(제주, 동부) |
16 | 충청남도 |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당진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아산시, 천안시, 홍성군 |
17 | 충청북도 |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음성군, 제천시, 증평군, 진천군, 청주시, 충주시 |
아토피ㆍ천식 안심학교(어린이집ㆍ유치원 포함)
시도별 안심학교 및 안심어린이집ㆍ유치원 수(2021년 기준)
지역 | 전체 | 중ㆍ고등학교 | 초등학교 | 어린이집ㆍ유치원 |
---|---|---|---|---|
서울 | 672 | 0 | 62 | 610 |
부산 | 380 | 5 | 23 | 352 |
광주 | 167 | 13 | 30 | 124 |
대전 | 83 | 6 | 33 | 44 |
경기 | 704 | 8 | 256 | 442 |
강원 | 325 | 26 | 72 | 227 |
경북 | 513 | 8 | 89 | 416 |
충북 | 75 | 1 | 8 | 66 |
경남 | 142 | 6 | 37 | 99 |
세종 | 12 | 0 | 0 | 12 |
대구 | 6 | 0 | 1 | 5 |
인천 | 26 | 1 | 5 | 20 |
울산 | 111 | 3 | 6 | 102 |
충남 | 74 | 2 | 36 | 36 |
전북 | 52 | 5 | 16 | 31 |
전남 | 86 | 1 | 28 | 57 |
제주 | 15 | 0 | 0 | 15 |
전체 | 3,443 (특수학교 1개 포함) |
85 | 700 (특수학교 1개 포함) |
2,658 |
시도 아토피ㆍ천식 교육정보센터(9개)
홈페이지 및 연락처
센터명 | 주소(홈페이지) | 대표전화 |
---|---|---|
서울특별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대목동병원 본관 2층 (https://www.atopyinfocenter.co.kr) | 1577-9757 |
부산광역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부산광역시 서구 감천로 262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의과대학 1층 (http://allergyinfo.or.kr) | 1899-4640 |
광주광역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행정동 1층(학동, 전남대학교병원) (https://www.gjatopy.or.kr) | 1899-8210 |
대전광역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충남대학교병원 (https://www.allergyinfocenter.co.kr) | 042)280-6827∼6831 |
경기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번길 82 분당서울대병원 1동 B1 (https://www.e-allergy.org) | 1577-9642 |
강원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강원도 춘천시 백령로 156, 강원대학교병원 (http://www.gwallergy.or.kr) | 1899-9756 |
충청북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 순환로 776 충북대학교병원 본관 B1층 (http://www.cballergy.co.kr) | 043)269-7898 |
경상북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경상북도 경주시 동대로 87 동국대학교경주병원 신관 8층 (http://www.eduinfo-allergy.com) | 1899-7585 |
경상남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팔용로 158 삼성창원병원 별관 2층 (http://gnatopyinfo.or.kr) | 1533-0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