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관리
detail content area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관리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정의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은 병원성 미생물(바이러스) 또는 독성물질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인하여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을 지칭합니다.
법정감염병 신고 및 보고체계
- 1)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 2명 이상이 동일한 음식물(음용수 포함)을 섭취하여 설사, 구토 등 유사한 증상 (장관감염 증상*)의 동시 발생
- * 장관감염 증상:설사, 복통, 오심, 구토, 발열 등이 주 증상이며, 사례정의에 필요한 임상상 중 ʻ설사ʼ는 평소에 비해 더 많이 수양성 변이나 무른 변을 보는 경우 또는 1일 3회 이상 하는 경우
- ** 의심 증상 발생양상 파악 등으로 역학조사 진행 중에 역학조사관이 판단하는 것으로 변동 가능
- 2)법정감염병 신고 및 보고체계

- 질병과나리청 각 감염병별 담당부서
- ↑결과환류 ↓보고
- 시·도 보건과
- ↑결과환류 ↓보고
- 시·군·구 보건소
- ↑결과환류 ↓감염병환자발생신고
- 의사,치과의사,한의사, 의료기관의 장, 부대장(군의관), 감염병병원체 확인기관의 장
- ↑감염병환자 발생신고 ↓결과환류
- 표본감시기관
- ↓ 표본감시기관 직접신고
- 질병과나리청 각 감염병별 담당부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감시체계
집단발생감시
- 1) 사업목표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의 조기감지, 역학조사 등을 통한 감염병 확산방지
- 2) 대상
- 2명 이상이 동일한 음식물(음용수 포함)을 섭취하여 설사, 구토 등 유사한 증상(장관감염증 증상)을 보일 경우

- 구토
- 복통
- 설사
- 근육통
- 오심
- 3) 사업 내용
- 환자 발생 개요 파악 : 발생 지역, 발생 일시, 발생 장소, 발생 규모, 발생 경위, 신고 일시, 신고자, 주요 증상, 섭취식품 파악
- 역학조사 현황 보고 : 조사 일시, 검사의뢰 현황, 조치사항, 향후 조치계획, 시·도 역학조사관 의견

하절기 비상방역 체계
- 1) 사업목표
- 감염병의 집단발생과 유행이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발생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법정 감염병 감시체계와 별도로 연중 기동감시·대응체계 운영
- 2) 사업내용
- 가) 비상방역체계 운영
- ① 기간 : 하절기(5∼9월), 설 및 추석연휴(감염병 발생 유행에 따라 변동 가능), 군중모임 행사기간 * 검역소의 경우 하절기(5∼9월) 비상방역체계 운영 제외(연중 검역관리 수행)
- ② 대상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설사
- ③ 사업내용 : 환자발생현황, 검체수거현황, 예보 등 홍보현황
- ① 기간 : 하절기(5∼9월), 설 및 추석연휴(감염병 발생 유행에 따라 변동 가능), 군중모임 행사기간
- 가) 비상방역체계 운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감시(Enter-Net)
- 1) 사업 목적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의 원인규명, 전파차단 및 예측을 위해 감염 환자로부터 원인병원체를 확인하고 과학적으로 분석된 병원체의 특성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 2) 표본감시기관
- 설사질환 병원체감시 표본감시의료기관에 참여중인 의원급 의료기관
-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의료기관 중 참여의사가 있는 병원급 의료기관
발생현황
제2급 및 제3급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콜레라, 비브리오패혈증 등 8종)
(단위 : 명)
감염병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
2급 | 콜레라 | 0 | 4 | 5 | 2 | 1 | - |
장티푸스 | 121 | 121 | 128 | 213 | 94 | 69 | |
파라티푸스 | 44 | 56 | 73 | 47 | 55 | 95 | |
세균성이질 | 88 | 113 | 112 | 191 | 151 | 38 |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71 | 104 | 138 | 121 | 146 | 313 | |
A형간염 | 1,804 | 4,679 | 4,419 | 2,437 | 17,588 | 3,491 | |
E형간염* | - | - | - | - | - | 182 | |
3급 | 비브리오패혈증 | 37 | 56 | 46 | 47 | 42 | 71 |
* 2020.7월부터 2급 법정감염병에 추가됨
** 2020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제4급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장관감염증 20종)
(단위 : 명)
종류 | 2019년 | 2020년* | ||
---|---|---|---|---|
4급 감염병 |
세균 (11종) |
살모넬라감염증 | 2,664 | 1,935 |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 128 | 55 | ||
장독소성대장균감염증 | 83 | 55 | ||
장침습성대장균감염증 | 20 | 4 | ||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 148 | 110 | ||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 3,421 | 3,431 | ||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 3,568 | 3,137 | ||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 155 | 66 | ||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 | 54 | 12 | ||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타카 감염증 | 125 | 108 |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증 | 11 | 8 | ||
바이러스 (5종) |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감염증 | 2,912 | 1,408 | |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증 | 826 | 201 | ||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 576 | 185 |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 5,796 | 3,203 | ||
사포바이러스 감염증 | 528 | 70 | ||
원충
(4종) |
이질아메바 감염증 | 18 | 13 | |
람블편모충 감염증 | 68 | 33 | ||
작은와포자충 감염증 | 2 | 3 | ||
원포자충 감염증 | 0 | 0 | ||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지정기관 수 | 204 | 206 |
* 2020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집단발생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공중위생수준 향상과 방역성과 등으로 산발적인 사례의 발생은 많이 감소되었으나, 학교 및 직장 등 급식 증가 등으로 집단발생 증가
- 1) 연도별 발생 현황
- 2020년 발생 건수는 총 244건으로 지난 5년(2016∼2020년) 평균(527건) 비교하여 53.7% 감소
-
- 발생건수(건) 2016년 :557 , 2017년 :539 , 2018년 : 697 , 2019년 : 600 , 2020년 : 244 - 사례수(명) 2016년 :9,139 , 2017년 :7,812 , 2018년 : 16,247 , 2019년 : 7,659 , 2020년 : 3,383 - 2020년 사례 수는 총 3,383명으로 지난 5년(2016∼2020년) 평균 (8,832명) 비교하여 61.7%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발생 건수(건) | 557 | 539 | 697 | 600 | 244 |
사례수(명) | 9,139 | 7,812 | 16,247 | 7,659 | 3,383 |
건당 사례수(발생 건/명) | 16.4 | 14.5 | 23.3 | 12.8 | 13.9 |
* 2020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장소별 발생 현황
- 2020년 장소별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음식점에서 총 129건(43.0%)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교, 학원에서 발생건 수(77건, 25.7%)가 높았음
(단위 : 건(명))
구분 | 집단발생 건(사례 수) | ||||||||
---|---|---|---|---|---|---|---|---|---|
2019년 | 2020년 * | ||||||||
계 | 건 | % | 명 | % | 건 | % | 명 | % | |
601 | 100 | 7,680 | 100 | 244 | 100 | 3,382 | 100 | ||
단체 급식 | 학교, 학원 | 179 | 29.8 | 4,380 | 57.0 | 77 | 25.7 | 1,596 | 47.2 |
직장 | 31 | 5.2 | 393 | 5.1 | 18 | 6.0 | 577 | 17.1 | |
집단시설 | 22 | 3.7 | 312 | 4.1 | 14 | 4.7 | 218 | 6.4 | |
장례식장,예식장 | 0 | 0.0 | 0 | 0.0 | 0 | 0.0 | 0 | 0.0 | |
외식 | 음식점 (배달, 포장 포함) | 296 | 49.3 | 2,111 | 27.5 | 129 | 43.0 | 956 | 28.3 |
가정식 | 가족 | 29 | 4.8 | 93 | 1.2 | 10 | 3.3 | 12 | 0.4 |
미규명 또는 미분류 | 44 | 7.3 | 391 | 5.1 | 52 | 17.3 | 23 | 0.7 |
* 2020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원인병원체별 현황
- 2020년 집단발생 건 중 원인병원체가 규명된 건은 총 188건(77.0%)이며, 노로바이러스 (51건(20.9%)), 병원성대장균(20건(8.2%)) 순으로 높게 나타남
(단위 : 건(%))
구분 | 규명 | 구분 | 규명 |
---|---|---|---|
노로바이러스 | 51(20.9) |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 4 (1.6) |
병원성대장균 | 20 (8.2) | 황색포도알균 | 2 (0.8) |
살모넬라균 | 19 (7.8) | A형간염 | 1 (0.4) |
캄필로박터균속 | 16 (6.6) | 쿠도아충 | 10 (4.1) |
로타바이러스 | 4 (1.6)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5 (2.0) |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 6 (2.5) | 기타 | 48 (19.7) |
장염비브리오균 | 1 (0.4) | 중복감염 | 1 (0.4) |
* 2020년 통계는 잠정통계임(역학조사 결과보고서 제출 건 기준)